기타17 밝음을 키워야 어둠이 지워진다: 강점 중심 자기계발의 힘 서론: 강점 중심 자기계발의 출발점강점 중심 전략이 필요한 이유강점은 발견이 아니라 선택작지만 꾸준한 실천이 강점을 만든다결론: 나의 밝음을 키우는 실천 약점을 고치려 말고 강점을 키워라: 구본형이 말하는 자기계발 전략자기계발서의 고전, 구본형 작가의 『그렇게 될 것이다』는 이렇게 말합니다.“어둠을 지우는 대신 먼저 밝음을 키우는 것이 선행돼야 된다.”이 문장은 단순한 문구를 넘어 삶의 전략이 됩니다. 우리 대부분은 약점을 고치려 애씁니다. 하지만 이 문장은 그 반대 방향을 제시합니다.강점을 키워라, 밝음을 키워야 어둠이 지워진다는 전략.이는 자기계발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선사합니다. 1. 강점 중심 전략이 필요한 이유성인 학습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자신감 회복"입니다.자기계발을 시작할 때,.. 2025. 6. 13. 있으면 좋다?는 목표는 없는 목표와 같다 당신은 하루에 몇 번이나 자신의 꿈을 떠올리시나요? 미국의 조사에 따르면, 사람들의 92%는 새해 목표를 세운 뒤 얼마 지나지 않아 포기한다고 합니다. 왜일까요? 목표가 없어서가 아니라, 그것을 향한 강렬한 욕망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강렬한 욕망이 없는 목표는 무관심과 같습니다. 무엇인가를 "있으면 좋겠다"고 막연히 바라는 것은, 사실상 그것이 없어도 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익사 직전의 사람처럼 산소를 절실히 원하듯이, 우리가 바라는 어떤 것도 그러한 절박함이 없다면, 그것은 바람이 아니라 무관심일 뿐입니다. 브라이언 페이지는 『소득혁명』에서 부를 이루기 위한 시작으로 부업을 선택했고, 모든 여유 시간을 쏟아부었습니다. 단 1분 1초도 허투루 쓰지 않고 부업에 투자하며 결국 큰.. 2025. 6. 12. 성공을 원하나요? 진짜 욕망이 답입니다 익사 직전의 갈망처럼, 당신의 성공도 그렇게 시작된다 한 실험에 따르면 목표를 분명히 적어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2% 더 목표를 달성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단지 계획을 세운다고 모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정한 성공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소크라테스가 전한 성공의 본질 어느 날, 한 제자가 소크라테스에게 물었습니다. "지혜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소크라테스는 그를 강가로 데리고 가더니 물속에 그의 머리를 넣었습니다. 제자가 숨을 헐떡일 즈음에야 머리를 꺼내주고 말했죠. "지식을 얻고 싶다면, 방금 네가 공기를 갈망했던 것만큼 갈망해라." 이 이야기는 단순한 우화가 아닙니다. 우리가 삶에서 진정 원하는 것을 향해 나아가려면, 그만큼 간절해야 한다는 메시지입니다. 진정.. 2025. 6. 11. 다람쥐처럼 맴도는 당신, 올해는 '결정'이 필요합니다 우리 모두 한 번쯤은 이런 말을 해봤을 겁니다. "더 좋은 기회가 있을 거야." 하지만 정말 그랬을까요? 미국 심리학자 배리 슈워츠는 선택의 역설에서 말합니다. 선택지가 많을수록 사람들은 더 만족하기보다는 더 불안해진다고요. 이처럼 우리는 때로 너무 많은 가능성 앞에서 아무것도 선택하지 못한 채, 제자리만 맴돕니다. 이것이 바로 요즘 회자되는 ‘다람쥐 증후군’입니다. 1. 다람쥐 증후군, 그 정체는 무엇일까? 다람쥐 증후군은 우리가 하나의 기회에 집중하지 못하고 계속 새로운 기회를 찾아 헤매는 상태를 말합니다. 마치 쳇바퀴 속 다람쥐처럼, 목표를 정해도 금세 다른 기회가 눈에 들어오고, 기존의 결정을 포기해버립니다. 이때 우리는 "더 나은 선택을 했어"라고 스스로를 위로하.. 2025. 6. 5. 이전 1 2 3 4 5 다음